폭염과 가뭄이 끝나고 빠르게 성장한 메뚜기 떼가 Lethbridge로 몰려든다
레스브리지 지역은 수주간의 고온으로 인해 수가 급속도로 증가한 메뚜기 떼가 득실거리고 있어 주민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피해가 심한 Garry Station의 주민 트레버 루이스는 2주 전 정원에 있는 장미의 잎들이 메뚜기에 의해 피해를 입은 후로, 매일 메뚜기 떼와의 전투가 계속되고 있다며 메뚜기 떼는 퇴치를 시작하기 전에 이미 모든 장미와 콩 절반을 먹어 치웠는데 지금까지 본 것 중 최악이었다고 전했다. 병에 넣어 통제하려고 하지만 그 수가 너무 많아 이제는 집 밖에 나가기도 힘들고 아이들은 마당에서 뛰어노는 것을 포기했다고 덧붙였다.
레스브리지시 대변인 Meagan Williams에 따르면 이 문제는 장시간의 고온 건조한 기온과 흉작으로 인해 비롯됐고, 이로 인해 농부들은 메뚜기 떼 방제를 위한 살충제를 살포하지 못 하게되자 이는 주민들의 피해로 이어졌다고 한다. 시에서는 주민들이 방제를 위해 해충 관리 회사나 가든 센터에 문의할 것을 권하고 있다.
수십 년 동안 메뚜기를 연구해 왔으며 2005년 캔모어에서 열린 메뚜기와 메뚜기 떼 관련 학회를 조직해 의장직을 거쳐 1986년에는 곤충 개체 수를 예측하는 최초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만든 바 있는 레스브리지 대학의 환경과학과 단 존슨(Dan Johnson) 교수에 의하면, 이러한 피해를 입히는 메뚜기 종은 두 줄 무늬 메뚜기로 거의 날지는 않지만, 무리를 지어 걸어서 농작물 먹어 치우며, 가뭄으로 인근 농지의 먹이가 부족해짐에 따라 먹이를 찾아 앞마당과 뒤뜰로 옮겨왔다고 한다. 대부분 통제될 수는 있지만 메뚜기 떼가 넓은 지역으로 퍼져 버리면 손쓰기 어렵다고 그는 덧붙였다.
메뚜기 수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이러한 폭증 현상이 5년마다 발생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번 경우는 좀 다르게 냉혈 동물인 메뚜기는 보통 체온을 올리기 위해 일광욕이 반드시 필요한데 최근의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더 빨리 성장하고 더 많은 먹이를 먹어 치우게 되었으며 더불어 폭염은 천적들의 활동을 방해했다고 전했다.
보통 암컷 메뚜기 한 마리는 35에서 50개의 알을 낳지만 다음에는 알을 더 빨리 낳을 것이고, 이는 미래에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그는 레스브리지에서 조사를 하는 동안 최대 평방미터당 100마리의 메뚜기가 발견되었고 이것은 보통 위험 수준으로 평가되는 평방미터당 20마리를 훨씬 넘는 중대한 문제라고 말했다.
다행인 것은 메뚜기 떼는 도시 전체를 뒤덮고 있지는 않으며, 수마일에 걸친 핫스팟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인데 알버타 주정부의 2021년 메뚜기 예보에 의하면 메뚜기 떼는 캘거리 남부지역 특히 레스브리지 남부 지역에 집중된다고 한다. 기온이 떨어질 때까지 메뚜기 떼는 사라지지 않겠지만 물과 비가 그들의 속도를 늦추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같은 피해를 통해 메뚜기 종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사람들이 메뚜기 떼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발견되는 메뚜기 종류를 보고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현재 만들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