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 유지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에드먼턴 독신 성인들
에드먼턴의 사회 복지 보고서의 연례 점검 내용에 따르면 독신인 노동 연령의 성인은 생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5일(화) 발표된 최근 바이탈 싸인 보고서에 따르면, 알버타 의 독신 성인들 중 거의 43%가 푸드 뱅크를 이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 그룹이 빈곤 상태에서 살 가능성이 3배 더 높으며, 이 지역 사회 보장 이용자의 3분의 1을 약간 밑돌고 부분을 차지한다고 덧붙였다.
이 보고서 작성에 기여한 단체 중 하나인 Edmonton Community Foundation의 커뮤니케이션 팀 책임자인 엘리자베스 본킨(Elizabeth Bonkink)은 혼자 사는 독신 성인이 에드먼턴에서 가장 큰 빈곤층이며, 현재의 알버타 최저 임금으로는 여가이든 응급상황이든 간에 추가로 지출할 여유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시간당 15달러 정규직으로 일하는 19세에서 30세 사이의 독신 여성들을 대상으로 모델링한 보고서의 예산에는 약물, 의복 또는 치과 작업과 같은 추가 비용으로 주당 34.44 달러가 남는다.
응급상황에 병원에 가려고 할때, 구급차를 탈 여유가 없어서 우버를 타고 가면 그 돈은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본킨은 말했다.
보고서는 최저 생활 임금을 시간당 16.51달러로 정하고 있지만, 이 수치는 2019년 4인 가족과 2인 가구에 대한 계산을 기반으로 한다. 보고서에 인용된 많은 소득 통계는 2019년 데이터 기반으로,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소득이 중단된 상황이 아닌 전형적이고 정상적인 상황을 반영한다.
이 보고서에서 인용된 2021년 르거 여론조사에 따르면, 에드먼턴 시민의 66%가 가난이 이 도시에서 중요한 문제라고 믿고 있지만, 29%만이 빈곤을 줄이기 위한 현재의 계획이 적절하다고 믿고 있다. 이는 2020년의 35%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End Poority Edmonton의 전무 이사인 에릭 앰트맨(Eric Ambtman)은 이러한 추세는 사람들이 당장 내일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기보다는 실제로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에는 에드먼턴 인구의 거의 13%가 빈곤층에 속했으며, 그중 3분의 1 이상이 한부모 가정이었고, 4분의 1 이상이 독신 성인이었다.
하지만, 앰트맨은 가난은 사회가 프로그램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조직적인 인종차별과 차별과 같은 다른 문제들과 얽혀있는 복잡한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유색인종, 퍼스트 네이션, 소외된 청년, 그리고 여성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질 좋고 고소득의 일자리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고 설명하며, 캘거리의 많은 지원 프로그램들은 빈곤을 관리하기 쉽게 만들 뿐이지 빈곤을 없애지는 못한다고 덧붙였다.
이 보고서는 또한 2019년에 에드먼턴 여성들은 남성들이 벌어들인 1달러당 약 71센트를 벌어들인 반면 고소득 산업은 여전히 남성들이 주로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본킨은 알버타주의 COVID 4차 유행 기간 동안 간호사들에 대한 급여를 삭감하려는 시도를 언급하면서 여성 주도 산업들은 저평가되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