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백신 접종 의무화 정책, 캐나다에도 시행되나?

캐나다를 비롯,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으로 캐나다 연방정부는 백신 접종 의무화 정책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오미크론의 확산에 먼저 당한 미국 및 유럽국가들은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혹은 특정 연령대 혹은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 의무 접종 정책을 도입했거나 도입하기로 하는 등 백신 의무 접종 정책이 전 세계에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제이슨 케니(Jason Kenney) 알버타 주수상은 알버타 주에서 백신 접종 의무화 정책에 대해 검토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이에 반발하고 나섰다.

 

 

▶ 캐나다 연방 보건부 장관 “근시일내 코로나 백신 접종 의무화 필요할 것” = 장 이브 뒤클로(Jean-Yves Duclos) 캐나다 연방 보건부 장관은 지난 7일, 오타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몇 주, 혹은 몇 달 내로 코로나 백신 접종 의무화와 관련해 연방정부와 주 정부 관계자들 간의 의견교환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며 “주 정부가 결정할 문제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백신 접종 의무화가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오미크론의 범람으로 인해 캐나다의 보건 체계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 미국, 유럽 국가들 사이에 확산되는 백신 접종 의무화 = 캐나다에 앞서 오미크론이 유행 중인 미국 및 유럽 국가들 사이에선 백신 접종 의무화가 점점 확산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 전략을 설명하는 대국민 연설에서 “코로나19 백신접종은 애국적 의무”라며 “제발 백신을 맞으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특히 연방 정부 소속 공무원, 직원 100인 이상 사업장 등에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사실상 방역패스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오는 2월 1일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오스트리아는 앞서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락다운 조치를 도입하기도 했다.

 

그리스의 경우 오는 15일부터 60세 이상의 백신 미접종자를 대상으로 매달 100유로의 벌금을 부과하고, 이탈리아도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의무화한다. 이탈리아는 이 외에도 의료진, 교사, 군인, 구급요원 및 경찰, 대학교 직원들을 대상으로 백신접종 의무화 조치를 시작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1분기(1∼3월) 내에 성인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법안을 이달 하원에 제출해 통과시킨다는 방침이다. 법이 통과되면 미접종자는 벌금 등 처벌을 받게 된다.

 

프,랑스 역시 백신 미접종자들을 공공이용시설 사용을 제한하는 백신여권 제도를 도입하려 하고 있으며 영국은 오는 4월 1일부터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의무화 한다.

▶ 제이슨 케니 “알버타주 백신 접종 의무화 없을 것” = 제이슨 케니 알버타 주수상은 이 같은 연방정부의 움직임에 반발하고 나섰다. 그는 지난 토요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알버타 의회는 지난해 공공보건법으로부터 백신 의무화 도입권을 제거했으며, 한동안 이같은 결정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며 이같이 말했다.

 

알버타주는 현재 캐나다 내에서도 가장 백신 접종률이 낮은 주에 속한다. 지난 9일을 기준으로 캐나다 전체의 5세 이상 백신 접종률은 1차 87.29%, 2차 80.88%에 부스터샷 25.82% 정도이지만, 알버타의 경우 1차 83.99%(전 주 및 준주 중 꼴지), 2차 77.04%

(전 주 및 준주 중 뒤에서 두 번째), 로 평균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부스터 샷 접종률의 경우 25.99%로 노스웨스트 준주(37.19%), 유콘(34.14%), 온타리오(33.21%), 마니토바(28.73%)의 뒤를 이어 5위를 기록 중이다. 백신의 공급이나 접종 능력보다는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사람들이 많아 접종률이 뒤처진 것이다.

 

디스타임 김재현 리포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