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진 출처: City of Edmonton

에드먼턴, 대중교통 운영 자금 창출 방안 모색 중

에드먼턴은 지난 몇 년 동안 새로운 승객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 대중교통 시스템 비용을 지불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다른 수익원을 찾아볼 계획이다.

시의회는 화요일 시 행정부가 시 운영 부서에서 시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설명된 대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옵션으로는 커뮤니티 활성화 부과금, 주차비, 차량 등록비 시행, 주정부의 자동차 연료세 일부 받기에 대한 합의 추진 등이 포함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Edmonton Transit Service(ETS)는 재산세와 대중교통 요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수입의 원천으로 삼고 있다.

아마지트 소히(Amarjeet Sohi) 에드먼턴 시장은 기존의 수입원에서 벗어나야 할 때라며 시의회 회의에서 재산세에 계속 의존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시의원 아론 파켓(Aaron Paquette)은 옵션들이 주차 및 등록비와 같은 차량 관련 활동에서 수익을 얻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목표가 사람들의 운전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것은 대중교통을 더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다른 지방 자치 단체들이 하는 것처럼 현실에 발맞추기 위해 시스템 자금 조달 방법을 현대화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시 관리자들은 지난 2년 동안 ETS의 승객 수가 COVID-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약 절반으로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앤 스티븐슨(Anne Stevenson) 시의원은 특히 커먼웰스 스타디움(Commonwealth Stadium)과 같은 시 소유 시설에서 하키 및 축구 경기와 같은 시의 이벤트 티켓에 추가 1달러를 추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ETS의 관리자인 캐리 핫튼-맥도날드(Carrie Hotton-MacDonald)는 교통비가 내장된 단일 이벤트 티켓 옵션을 고려했다고 말하며 ETS 팀이 그것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커뮤니티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과 계속 이야기할 것이라고 했다.

앤드류 넥(Andrew Knack) 시의원은 시에서 시의 책임인 대중교통과 같은 핵심 서비스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운영 예산에서 적절하게 예산을 책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시정부가 대중교통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는 시의회에서 향후 몇 달 동안 예산 우선순위를 논의하여 향후 시의 최우선 요구 사항을 파악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지방 자치 단체들은 주정부 및 연방 정부로부터 일시적인 COVID-19 자금 지원을 받는다.

에드먼턴은 오타와로부터의  6,600만 달러를 사용하여 대중교통 안전과 청결을 개선하여 사람들이 직장으로 돌아가기 시작할 때 다시 승객들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