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무너지는 새해 결심, 자존감이 먼저다”
매년 새해, 다양한 결심을 세우지만, 그 결심이 지켜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미국의 시장분석 기관인 통계브레인조사연구소(SBRI)에 따르면 새해 결심에 성공할 확률은 약 8% 정도. 거꾸로 말하면 실패할 확률이 92%나 된다는 이야기다. 의지가 부족해서일까. 정신과 의사로 수많은 내담자들을 만난 최명기 청담하버드심리센터 연구소장의 생각은 다르다. <독서신문>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의지력은 문제가 아니”라며 “나에게 안 맞는 것을 내가 하고 싶다고 잘못 믿었을 뿐”이라고 말한다. 즉, 새해 결심이 매번 무너지고 마는 이유는 우리가 자기 자신에 대해 제대로 모르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다. 결심과 의지력의 관계를 해체하는 그는 오히려 ‘자존감’의 균형을 강조한다. 과연 그가 말한 자존감은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최 소장에게 자존감의 의미와 올바른 목표 설정 방법에 대해 물었다. 아래는 일문일답.
Q. 매년 새해가 되면 ‘결심’이나 ‘계획’과 같은 결의에 찬 단어들이 많이 보입니다. 재밌게도 ‘작심삼일’이라는 단어도 나오고요.
결심이란 그동안 안 되던 것을 되게 하건, 하던 것을 중단하건 억지로 변화를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안 되던 것은 안 되는 이유가 있으며, 계속하던 것을 계속하는 것도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는 몸뿐만 아니라 마음도 현재에 익숙해져 있는데, 결심대로 안 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일입니다. 단 하루라도 결심을 지켰다면 대단한 것입니다. 한 달 동안 결심을 지켰다면 진짜 대단한 것입니다. 두 달을 결심을 지켰다면 진짜 진짜 대단한 것입니다. 그만둔 것을 탓하지 마세요. 그만두기 전까지 노력한 내 모습을 떠올리세요. 또 결심을 지키지 못한 나를 탓하지 마세요. 뇌와 몸이 따라주지 않은 것을 탓하지 마세요. 뇌와 몸의 입장에서는 안 되는 것을 매번 결심하는 내가 이해가 안 갈 것입니다.
Q. 결심이 무너지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지만, 계속 반복되면 “내 의지력에 문제가 있나”하고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다 보면 스스로를 믿지 못하게 될 것 같아요.
“의지력은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는 항상 최대한 노력하면서 삽니다. 옆에서는 의지력이 부족하다고 하지만 나의 뇌의 한계, 나의 몸의 한계, 나의 주어진 상황 안에서는 최선을 다한 것입니다. 스포츠에서만 결과에 승복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생을 살면서도 때때로 결과에 승복해야 합니다. 내가 되고 싶은 ‘나’를 자아이상(ego ideal)이라고 합니다. 자아이상의 시선으로 현재의 나를 바라보지 맙시다. 지금 있는 그대로의 ‘나’의 시선으로 자신을 봐야 합니다. 실패해서 제일 괴로운 것은 나입니다. 내 의지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다 보면 스스로 나를 벌주게 됩니다. 좋든 싫든 자신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결심이 무너지는 것은 의지력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닙니다. 나에게 안 맞는 것을 내가 하고 싶다고 잘못 믿었을 뿐입니다. 아직 준비가 덜 되었는데 준비가 되었다고 믿었을 뿐입니다. 때가 아닌데 때라고 믿었을 뿐입니다. 때로는 그냥 운이 나빴을 뿐입니다. 다만, 지금부터 내가 잘하는 것을 더 잘하기 위해서 목표를 세우고 결심하면 나는 번번이 성공할 것이며 나의 의지 역시 영원히 불타오를 것입니다.
Q. 원하는 목표를 이루려면 자기 자신을 채근하고 몰아세워야 목표에 가까워지는 것 아닌가요?
자기 자신을 채근하고 몰아세워서 목표에 가까워지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누군가가 나를 채근하고 몰아세워서 못하던 것을 하게 된 적은 거의 없고. 오히려 방해가 됐을 것입니다. 결심과 의지가 바꿀 수 있는 부분은 아주 작습니다. 거의 목표에 다다랐을 때는 누가 채근하고 몰아세우지 않아도 더 열심히 하게 됩니다. 목표가 까마득히 멀어서 시야에 들어오지도 않는데 자기 자신을 채근하고 몰아세우면 자기 자신이 지쳐 쓰러질 뿐입니다.
결국, 최 소장의 말은 결심을 지키는 것이 의지력을 끌어 올려서 될 일이 아니라 자존감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흔히 자존감과 관련된 문제에서 우리는 자존감이 낮은 것을 문제로 여기지만, 자존감이 높기만 한 것도 좋은 것은 아니라고도 한다.
Q. 균형잡힌 자존감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인데, 문제는 어떻게 균형을 이루느냐일 것 같습니다.
자존감이 내가 나를 존중하는 마음이라면 공적존중감은 남이 나를 존중하는 마음입니다. 공적존중감은 남이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 가에 대한 부분입니다. 예컨대, 남들은 나를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는 나를 너무 낮게 평가합니다. 공적존중감에 비해서 자아존중감이 너무 낮기에 앞으로는 여태까지보다 나에 대해서 더 높게 평가해야 합니다. 반면, 나는 내가 대단하고 잘 났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남들은 나에 대해서 높게 평가하지 않습니다. 공적존중감에 비해서 자아존중감이 너무 높기에 앞으로는 나에 대해서 더 냉정하게 평가해야 합니다. 자아존중감을 기준으로 공적존중감을 측정해서 나를 더 존중하도록 타인을 움직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타인은 나를 더 거절하고, 타인은 나를 더 피할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자아존중감은 더 상처받습니다. 공적존중감을 기준으로 자아존중감을 측정한 후 나의 마음과 행동을 움직여서 공적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갭을 줄이는 것은 가능합니다. 공적존중감에 비해서 자아존중감이 너무 낮다면 보다 자신있게 행동하면 됩니다. 공적존중감에 비해서 자아존중감이 너무 높다면 더 친절하게 행동하고 더 겸손하게 처신하면 됩니다.
Q. 자존감을 건강하게 키우려면 자기조절력 연습이 필요하다고 했어요. 자기조절력은 정확히 어떤 개념인가요?
“자기조절력을 쉬운 말로 표현하면 참을성입니다.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을 완벽하게 준비해서 최적의 타이밍에 행동하면 자기조절력이 있는 겁니다. 할 수 없는 일을 하겠다고 나서면 자기조절력이 부족한 겁니다. 막상 하겠다고 하고는 게으름 피우고 준비를 소홀히 하면 자기조절력이 부족한 겁니다. 움직여서는 안 될 때 움직이면 자기조절력이 부족한 겁니다.”
Q. 사람들은 또 다시 결심과 목표를 갖고 새해를 시작할 텐데요. 어떤 말을 전해 주고 싶나요?
결심할 때는 전적으로 나의 결정이어야 합니다. 나는 별로 하고 싶지 않은데 주변의 권유나 강요로 세워진 목표는 백이면 백 실패합니다. 나에게 당장 필요한 것을 결심해야 합니다. 만약, 당장 다음 달부터 외국인과 일을 해야 하고, 그래서 외국어를 배우기로 결심하면, 이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외국어에 능숙해지면 좋겠다고 막연히 생각해 외국어를 배우기로 결심했다면, 중간에 그만둘 가능성이 큽니다. 막연히 부지런해져야겠다고 생각해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기로 목표를 세웠다면, 며칠 하다가 다시 늦게 일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출처 : 독서신문(http://www.readersnews.com)